본문 바로가기

Formulation7

HLB (Hydrophilic-Lipophilic Balance) 개념, 화장품 제조에 필요성 HLB 정의HLB(Hydrophilic-Lipophilic Balance, 친수-친유 균형)는 분자, 특히 계면활성제(Surfactant)나 유화제(Emulsifiers)에서 친수성과 친유성 부분 간의 균형을 나타내는 수치이다. HLB 수치는 0부터 20까지이며,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:낮은 HLB 값 (0–6): 친유성, 기름에 잘 녹으며, W/O(Water in Oil) 유화에 적합하다. 높은 HLB 값 (10–20): 친수성, 물에 잘 녹으며, O/W(Oil in Water) 유화에 적합하다. 화장품에서 HLB의 중요성 적합한 유화제(Emulsifiers) 선택 유화제는 기름과 물이 섞이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, 올바른 HLB 값이 제품의 안정성을 보장한다. 예를 들어, O/W 유화제는 HLB 값 8~.. 2024. 11. 19.
SPG(Specific Gravity)의 정의, 중요성, 계산법 1. 화장품 산업에서 SPG의 정의 SPG란 Specific Gravity의 줄임말이다. 특정 온도 ( 25°C )에서 물의 밀도와 비교한 물질의 밀도를 나타내는 값이다. SPG는 단위가 없는 숫자로 나타낸다.  2. SPG의 중요성 - 제품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된다. SPG가 일정하다는 말은 제품이 균일성을 나타는 것이다. 배치를 할 때 온도나 혼합 속도 같은 제조 조건이 제품의 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. 이는 서로 다른 배치를 비교하는 기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. 만약 SPG의 범위 오차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면 각 배치 간 밀도나 섞임 정도가 다르다는 뜻이기 때문에 항상 체크를 해봐야 한다. - 제품 포장 (Package stability)시에 사용된다. 일.. 2024. 11. 18.
미국과 한국의 화장품 규제, 정책 비교하기 원료와 안전성에 따른 미국과 한국의 화장품 정책의 차이점 1. 규제 기관미국: FDA ( Food and Drug Administration)라고 하는 기관이 화장품과 약을 관리한다. 화장품에 관해서는 색조화장품과 SPF를 제외하고 사전 승인을 요구하지 않는다. 한국: MFDS (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), 즉 식약청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서 규제가 엄격한 편이다. 참고로 기능성 화장품이란 주름개선, 미백, 선크림 같은 것을 말하며 사전 승인이 요구된다.) 2. 화장품과 의약품의 정의 미국: FDA는 화장품의 효능을 기준으로 삼아 화장품과 의약품을 나눈다. 예로 여드름 치료와 같은 치료적 효능을 주장하는 제품은 의약품으로 분류되며 더 엄격한 규제를 받게.. 2024. 11. 14.
화장품 출시 전 필수 테스트 종류 : 안전성, 유효성, 규제 준수 소비자 안전과 효과를 위한 화장품 필수 테스트 : 종류, 정의, 방법. 화장품 연구소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수많은 과정을 거치는 데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안전성, 유효성 테스트이다. 모든 테스트를 다 거치는 것은 아니고 각 화장품의 제형, 쓰임에 따라서 거쳐야 하는 테스트가 다르다. 그렇기 때문에 테스트의 종류와 정의를 알아두면 도움이 많이 된다.  1. Stability testing Purpose: Ensures the product maintains quality, safety, and performance over time. Temperature StabilityProducts ar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(often 4°C, 25°C, .. 2024. 11. 13.
화장품 품질 평가할 때 쓰이는 단어 영어로 정리 화장품 제조 후 적합한 제품이 만들어졌는지 평가하는 과정은 필수이다. 이 과정에서 쓰이는 영어 단어들이 약간 생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의미를 짚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다.  화장품 품질, 제형 평가에 쓰이는 전문 용어와 정의Texture & Feel SilkySmooth, soft, and slippery feeling.VelvetyA soft, plush feeling, is often associated with luxury.RichA thick and creamy texture that feels nourishing.GreasyOily or leaving a film which is often considered undesirable.LightweightFeels light on the sk.. 2024. 11. 12.
화장품 원료 기능 18가지 분류와 정의 화장품 하나를 제조하는 데 있어 굉장히 많은 원료가 사용된다. 원료들 모두가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하는 데 있어 각 성질을 고려한다면 더 안정성 있는 화장품을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. 먼저 크게 원료들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각 기능들이 화장품 제조에 있어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알아보자. 더 나아가 어떻게 다른 원료들과 상호작용하는지 화학적인 관점에서 정리하고 대표적으로 쓰이는 물질들 몇 가지를 알아보자.  화장품 원료 기능 18가지 정의, 화학작용, 자주 사용되는 물질 정리표 Function typeDefinitionChemical interactionMaterials example1EmollientIngredients that soften and smooth the skin by for.. 2024. 11. 11.